1. docker 명령어
##컨테이너 실행중인 목록 상태 (실행중인 상태)
docker ps
#도커버젼
docker -v
##컨테이너 전체 리스트 확인
docker ps -a
#컨테이너 삭제 (삭제후 복원불가)
docker rm 컨테이너명
#컨테이너 시작 / 멈춤
docker stop 컨테이너명
docker start 컨테이너명
#모든 컨테이너 삭제
docker container prune
# 안 쓰는 이미지와 컨테이너를 삭제
docker system prune -a -f
# 컨테이너 접속
docker exec -it mysql-container bash
2. 컨테이너 run 과 start 차이
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명령어로 run, create, start가 있었는데, run 명령어는 pull, create, start 명령어를 일관적으로 실행한 후 attach가 가능한 컨테이너라면 컨테이너 내부에 접속한다.
하지만 create 명령어는 도커 이미지를 pull한 뒤에 컨테이너를 create할 뿐 start나 attach를 실행하지 않는다.
'IT개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Docker) 컨테이너 안에 vi 편집기 설치 (0) | 2023.04.03 |
---|---|
ubuntu mysql 설치 및 관리 (0) | 2023.04.03 |
aws EC2 서버 포트 열기 (0) | 2023.04.02 |
aws EC2 서버 포트 열기 (0) | 2023.04.02 |
도커 입문 강좌 추천 (0) | 2023.03.31 |